KT전국민주동지회
인간다운 KT를 만드는 사람들
검색
검색
로그인
소식지/성명서
현장의 목소리
사진/동영상
언론
소개
이름
비밀번호
비주얼
텍스트
"노조를 다 때려잡아야 한다, 복수노조와 전임자 임금 지급 문제로 노조를 무력화시켜야 한다." <P align="justify">"정권이 바뀐 것도 모르냐. 억울하면 정권을 잡아라."</P> <P align="justify">"원장의 입장이 연구원의 입장이다."</P> <P align="justify"> </P> <IMG id="photoIE001110217" border="0" src="http://ojsfile.ohmynews.com/STD_IMG_FILE/2009/0924/IE001110217_STD.jpg"> ▲ 박기성 원장 ⓒ 한국노동연구원 홈페이지 회사 경영자나 전국경제인연합회 등 사용자 측 인사가 아니라 국가 노동정책을 개발하는 한국노동연구원의 수장, 박기성 원장이 그동안 지속적으로 문제발언을 해왔다는 주장이 제기됐다. <P align="justify">박 원장은 최근 잇따라 "헌법에서 노동3권을 없애는 게 소신이다", "정규직을 비정규직으로 만들어야 한다" 등의 발언으로 물의를 빚었다.</P> <P align="justify"><오마이뉴스>가 24일 복수의 노동연구원 관계자들로부터 취재한 바에 따르면, 한 노동연구원 관계자는 "박기성 원장이 지난 1월 원내 회의석상에서 여러 차례 '노조를 때려잡아야 한다'고 발언하는 것을 들었다"고 전했다. 박 원장은 이 자리에서 복수노조 허용과 노조 전임자 임금 문제를 언급하며 "이를 통해 노조를 무력화해야 한다"고 주장하기도 했다고 한다. </P> <P align="justify">또한 박 원장은 2월 원내 회의에서는 "비정규직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정규직이 없어져야 한다"는 말을 했다고 한다. 이를 위해서 정리해고 완화와 퇴직금 폐지가 필요하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었다.</P> <P align="justify">지난 2월부터 "정규직 없어져야 한다" 주장</P> <P align="justify">박 원장의 거침없는 발언은 노동 현안에만 국한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. 연구원 운영에 관해서도 거침이 없었다고 한다.</P> <P align="justify">연구자들이 "노사정 모두로부터 공정한 연구기관이 되어야 한다"고 주장하자 박 원장은 "정권이 바뀐 것도 모르냐, 억울하면 정권을 잡아라"는 말을 수차례 했다고 전했다. 한 관계자는 "지난해 10월 즈음에 이 같은 발언을 들었다"고 말했고, 다른 관계자도 "박 원장이 그동안 비슷한 취지의 발언을 여러 차례 했고 들은 사람들도 많다"고 말했다.</P> <P align="justify">또한 박 원장은 '연구의 중립성과 객관성'을 주장하는 연구자들에 대해 "원장 입장이 곧 연구원의 입장이다, 조직에 민주주의가 어디 있느냐?"고 맞받기도 했다고 한다.</P> <P align="justify">지난 2월에는 연구자들이 "경영진이 노동조합 지부와 체결한 단체협약을 해지한 것이 연구 활성화에 장애가 된다"고 반발하자 박 원장은 "올해는 연구가 중요하지 않다"고 말했다. 노동연구원에서 하는 연구보다 연구원 내부의 노사관계를 '바로 세우는' 것이 더 중요하다는 얘기다.</P> <P align="justify">박 원장은 지난해 8월 취임 직후부터 노동연구원의 연구 방향을 놓고 연구자들과 계속 갈등을 빚어왔다. 그는 원장이 되자마자 '임기 중 경영목표'를 설정하면서 '수요자 중심의 정책서비스 제공'을 추가하고 그 하위 항목으로 '정부와의 상시적 협력체제 강화'를 넣었다. 대신 기존 목표로 명시됐던 '신뢰와 협력의 조직문화', '창의적 학습조직 구축' 등의 항목이 빠졌다.</P> <P align="justify">연구자들이 특정 시민단체 토론회에 참여하는 것도 금지했다. 이전까지 노동연구원 소속 연구자들은 사전 혹은 사후 보고를 한 뒤 자율적 판단에 따라 토론회에 참석했으며, 이는 연구원에서도 대외활동점수로 인정받는 연구활동이었다.</P> <P align="justify">특히 비정규입법에 대해서는 연구원이 정부 방침과 다른 연구결과를 발표하거나 인터뷰·기고 등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밝히는 것도 제재했고, 원장 개인의 의견을 담은 보고서를 연구원 입장으로 청와대에 보고해 물의를 빚었다. </P> <P align="justify">중립성 요구하는 연구자들에게 "정권 바뀐 것 모르냐"</P> <P align="justify">박기성 원장의 반노동 발언은 이미 여러 차례 도마 위에 올랐다.</P> <P align="justify">지난 2월 전국공공연구노동조합이 노동연구원의 산별교섭 참가를 요구하자 박 원장은 "우리나라에서는 기업별 노조가 원칙이고 산별노조는 인정할 수 없다는 것이 내 학자적 양심"이라고 주장했다. 또한 지난 17일에는 국회 정무위에 출석한 자리에서 "노동3권을 헌법에서 빼는 게 소신"이라고 답했다. </P> <P align="justify">이어 지난 21일에는 지난해 8월 노사관계연구본부 연구원들과 점심식사를 하던 중 "모든 정규직을 비정규직으로 만들어야 한다"고 말한 사실이 뒤늦게 드러나 노동계와 야당으로부터 비판을 받은 바 있다. </P> <P align="justify">특히 비정규직 문제와 관련, 박 원장은 공식석상에서도 자신의 우파적 '소신'을 밝혀왔다. </P> <P align="justify">지난해 10월 국무총리실 산하 경제인문사회연구회가 주최한 국정과제 세미나에서 '기간제 사용기간 제한 폐지'를 주장하는 토론문을 냈다가 함께 토론회에 나왔던 한국노총 측의 반발로 발표가 무산되는 수모도 겪었다. 그 뒤 지난 1월 비정규직 문제에 대한 KBS 심야토론에서도 "기간제 사용기간 제한은 폐지되어야 하고, 최소한 연장되어야 한다"고 주장했다.</P> <P align="justify">이 같은 갈등 끝에 공공연구원노조는 지난 14일 파업을 시작했다. 평가위원회·인사위원회·고용안정위원회 등에 노조 참여를 보장하는 단체협약을 노동연구원이 해지하기로 하자, 연구위원들은 "연구중립성 훼손"을 우려하며 이에 반발해 노조를 만들었다. </P> <P align="justify">황덕순 연구위원 노조위원장은 "아직 박기성 원장의 '소신' 발언이나 압력이 연구결과에 직접 영향을 끼친 적은 없지만 토론회 참석 등 대외활동은 위축된 게 사실"이라면서 "객관적이고 중립적으로 국가 정책을 연구하는 기관의 장이 자신의 입장을 강요하면서 연구 자율성을 해치고 있다"고 비판했다.</P> <P align="justify">박 원장은 성신여대 경제학과 교수 출신으로, 2007년 대선 당시 '뉴라이트지식인 100인 시국선언'에 참여해 이회창 후보의 대선출마를 비판한 바 있다. 이 때문에 노동연구원장 취임 당시 이명박 대통령의 '보은인사'라는 비판이 나오기도 했다.</P> <P align="justify"><오마이뉴스>는 박 원장 발언의 진위를 확인하기 위해 24일 오후부터 그에게 수차례 전화로 연락을 취했으나 박 원장은 전화를 받지 않았다. <오마이뉴스>는 계속 박 원장과 접촉을 시도해 당시 문제발언들의 사실 여부와 전체 취지 등을 확인할 예정이다 </P> 출처 : "노조 때려잡아야" "억울하면 정권 잡아"<BR> 못 말리는 박기성, 노동연구원장 맞나요? - 오마이뉴스
링크 삽입/편집
닫기
대상 URL을 입력하세요
URL
링크 텍스트
새 탭에서 링크 열기
또는 기존의 컨텐츠에 링크하기
검색
지정된 검색어를 찾을 수 없습니다. 최근의 아이템을 보여줍니다.
아이템을 선택하려면 검색이나 상하 방향키를 사용하세요.
취소